활동목표 및 활동방향

활동방향 | 추진과제 |
---|---|
국민의 목소리를 담은 자문‧건의 강화 |
|
지역현장의 평화통일 중심 역할 수행 |
|
재외동포와 함께 평화통일 공공외교 선도 |
|
청년세대의 평화통일 역할 강화 |
|
- 활동방향별 세부 추진과제
1. 국민의 목소리를 담은 자문‧건의 강화
-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실질적 정책건의
-
‘담대한 구상’ 및 통일국정과제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건의함으로써 윤석열정부 통일정책 추진 기반 강화
- 특히 통일담론 확산, 북한이탈주민 지원, DMZ 그린평화지대화 등 민주평통 차원에서 추진 가능한 실천과제 발굴
- *
- 담대한 구상 :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우리의 경제‧정치‧군사적 조치의 단계적‧동시적 이행을 통해 비핵‧평화‧번영의 한반도를 함께 만들어 나가자는 윤석열정부의 대북정책 로드맵
- ※ 윤석열 대통령,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안
- 특히 통일담론 확산, 북한이탈주민 지원, DMZ 그린평화지대화 등 민주평통 차원에서 추진 가능한 실천과제 발굴
-
‘담대한 구상’ 및 통일국정과제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건의함으로써 윤석열정부 통일정책 추진 기반 강화
-
국민 소통 기반의 정책건의 프로세스 정착
-
정기회의 기능 활성화로 정책건의 과정에 자문위원의 참여 확대
- 분기별 정책건의 프로세스
- ①
- 정책건의 방향 및 세부의제 선정 (기획조정분과위원회)
- ②
- 전문가 발제‧토론 (분과위원회 심의) 273개 지역협의회별 공론화, 의견수렴 (협의회 정기회의)
- ③
- 정책건의 보고서 작성‧채택 및 의장보고
-
정기회의 기능 활성화로 정책건의 과정에 자문위원의 참여 확대
2. 지역현장의 평화통일 중심 역할 수행
-
국민 소통‧참여 채널로서의 기능 강화
-
토론, 발표 등 양방향 소통이 이루어지는 통일사업 비중 확대
- [단순 강의방식] → [토론회 죄담회, 발표회 등]
- 소그룹 토론 활성화,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직접 참여를 통해 국민의 마음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통일사업 추진
- 유튜브 등 뉴미디어를 활용한 국민참여 콘텐츠 및 이벤트 개발
-
세대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통일사업* 추진으로 참여도 제고
- *
- 노년층 대상 찾아가는 평화통일 교실 등
- 자문위원의 국민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추진
-
토론, 발표 등 양방향 소통이 이루어지는 통일사업 비중 확대
-
국민통합형 평화통일 공론장 형성
-
‘담대한 구상’ 등 정부 통일정책에 대한 국민공감 사업 추진
-
통일정책 국민공감대회*, 통일정책 공개토론회 등
- *
- 통일정책 국민공감대회 : 국내 지역회의‧협의회 주최로 지역 주민 100~500명을 초청, 윤석열정부 통일‧대북정책에 대한 정부인사‧전문가 강연 및 주민 발표, 의견수렴 추진
-
통일정책 국민공감대회*, 통일정책 공개토론회 등
-
통일에 관한 계층별 갈등 해소 및 통합을 위한 사업 개발‧추진
- 동‧서 자매결연, 노‧장‧청 통일대화, 도‧농 간 연계 프로그램 등
-
‘담대한 구상’ 등 정부 통일정책에 대한 국민공감 사업 추진
-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 정착 지원
- 국내외 조직과 2만 명의 자문위원을 활용, 북한이탈주민 대상 생활밀착형 정착지원* 추진
- *
- 탈북청소년 멘토링, 법률지원, 의료지원, 장학지원 등
- 북한이탈주민이 주도‧참여하는 프로그램 확대
- 북한이탈주민 강사 초청 특강, 탈북청소년 초청 워크숍 등
- 국내외 조직과 2만 명의 자문위원을 활용, 북한이탈주민 대상 생활밀착형 정착지원* 추진
3. 재외동포와 함께 평화통일 공공외교 선도
- 동포사회와의 협력으로 국제사회 통일 공감대 확산
-
동포사회 통일에너지 결집으로 통일공공외교 추진 역량 강화
- 통일‧대북정책에 대한 동포사회 이해 제고
- ㆍ
- 해외 평화통일 정책강연회
- ㆍ
- 동포 초청 통일정책 간담회
- ㆍ
- 정책설명 자료, 콘텐츠 제공
- 동포기관‧단체와의 연계‧협업 추진
- ㆍ
- 재외공관, 한국국제교류재단 등 정부기관 간 협업 추진
- ㆍ
- 한인회, 세계한상대회, 동포기업 등과 연계사업 추진
- 재외동포 청소년 통일관심 제고
- ㆍ
- 주니어평통 위촉
- ㆍ
- 차세대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청소년 통일캠프, 평화통일 발표대회 등)
- ※
- 대북활동에 있어 상대적으로 자유롭고, 시민권 보유 등으로 현지사회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재외동포들의 공공외교 역량을 적극 활용
- 통일‧대북정책에 대한 동포사회 이해 제고
-
전략적 통일공공외교 추진으로 국제사회 통일 지지기반 강화
- ‘민주평통 통일공공외교 추진전략 및 세부추진계획’* 수립
- *
- 각국의 국익, 정치‧경제‧사회적 특성을 반영한 대상별 맞춤형 전략 마련
- 해외 평화통일포럼 및 국제학술회의 개최로 현지 여론주도층에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이해 및 공감대 확산
-
93개 해외 조직과 3,900명 해외 자문위원의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 다양한 통일공공외교 사업* 전개
- ㆍ
- 의원‧보좌관 등 현지 유력인사 초청 통일‧대북정책 설명 간담회
- ㆍ
- 언론 기고 및 일반 대중 대상 평화통일 홍보 활동
- ㆍ
- K-POP, K-Food 등 한국문화 행사 계기 평화통일 알리기 등
- ‘민주평통 통일공공외교 추진전략 및 세부추진계획’* 수립
-
동포사회 통일에너지 결집으로 통일공공외교 추진 역량 강화
-
비핵화‧인도적 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 환기
-
해외 현지 유력 정치인, 시민단체 및 언론 등과의 연계를 통해 국제사회에 비핵화 및 인도적 문제 관련 관심 지속 환기
- 우리 정부의 비핵화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 관련 홍보 추진
- 현지 인권단체 등과 함께 북한인권 개선, 이산가족 문제 해결, 북한이탈주민 지원 등에 대한 지지 활동 주도
-
해외 현지 유력 정치인, 시민단체 및 언론 등과의 연계를 통해 국제사회에 비핵화 및 인도적 문제 관련 관심 지속 환기
4. 청년세대의 평화통일 역할 강화
-
2030의 열정을 통일미래담론으로 구체화
-
2030 세대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정책건의에 적극 반영
- 2030이 생각하는 한반도 통일 미래비전, 바람직한 통일방안 등
- 청년들의 소통‧참여의 장 제공으로 통일미래담론 논의에 기여
- 지역별‧직능별 청년 통일대화, 세계 청년위원 컨퍼런스 등
-
2030 세대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정책건의에 적극 반영
-
청년이 주도하는 평화통일 공감 확산
-
20기 신설 청년운영위원회의 기능 활성화
- 통일사업을 제안‧채택하는 실질적 회의체로서의 역할 강화
-
청년세대 맞춤형 통일공감사업 개발
- 통일의 비용‧편익* 등 청년세대의 관심분야에 맞는 주제를 발굴
- *
- 청년세대는 이전 세대에 비해 통일의 당위성보다는 손익에 주목하는 측면
- 청년들이 익숙한 사업방식(인터넷, 모바일 등) 적극 활용
- 통일의 비용‧편익* 등 청년세대의 관심분야에 맞는 주제를 발굴
-
유관 청년 기관‧단체*와의 연계활동을 통한 외연 확대
- *
- 국무총리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지역별 청년정책 관련 부서(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 등), 청년단체 등
-
20기 신설 청년운영위원회의 기능 활성화
-
뉴미디어를 활용한 청년의 평화통일 활동 활성화
-
청년들이 평화통일을 주제로 논의‧활동하는 공간으로 뉴미디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SNS 운영, 브이로그 등 ‘평화통일 1인 미디어’로서의 역할 강조*
- *
- 브이로그 공모전 등을 실시하여 청년들의 자발적인 참여 유도
- SNS 운영, 브이로그 등 ‘평화통일 1인 미디어’로서의 역할 강조*
-
청년들이 평화통일을 주제로 논의‧활동하는 공간으로 뉴미디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