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주요활동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언론에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민주평통, 「리일규 전 쿠바 주재 북한대사관 참사 특별 강연」 개최 (8.27.)


민주평통, 「리일규 전 쿠바 주재 북한대사관 참사 특별 강연」 개최 (8.27.)

- 탈북 고위급 외교관의 관점에서 북한의 대외관계와 체제변화 가능성 조명

향후 고위급 망명 인사 활용한 자유통일 가치관 함양 및 역량 배양에 주력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수석부의장 김관용, 사무처장 태영호, 이하 ‘민주평통’)는 8월 27일(화) 오전 10시 40분 사무처 1층 대회의실에서 민주평통 운영위원 47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해 11월에 망명한 리일규 전 쿠바 주재 북한대사관 참사 초청 특별 강연을 개최하였다.

 

□ 북한 대외관계, 체제변화 가능성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특별강연에서는 북한 외교관 출신인 리 전 참사가 망명 탈북 엘리트의 관점에서 북한의 대외관계 변화를 설명하고, 주민들의 인식 변화에 따른 북한의 변화 가능성을 집중 진단하였다.

 

□ 강연 시작에 앞서 김관용 수석부의장은 개회사에서 “8·15 통일 독트린을 통해 한반도 상황을 바꿀 수 있는 전환기가 마련되었다”면서 “민주평통은 현장과 활발히 소통하면서 8·15 통일 독트린의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이어서 태영호 사무처장은 인사말을 통해 “대한민국에 온 이후 2017년 민주평통에서 처음으로 강연을 했었는데, 7년이 지난 지금 북한 출신 행정관료로 제가 기관장으로 있는 민주평통에서 후배가 강연을 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소회를 밝혔다.

 

□ 또한 태 사무처장은 “지금 북한이 두 개 국가론을 운운하며 통일을 부정하고 있는데, 민주평통 운영위원님들께서 선봉장이 되어 통일의 길에 나서달라”고 강조하였다.

 

□ 이어서 진행된 특별 강연에서 리 전 참사는 김정일 시대부터 김정은 시대에 이르기까지 시기별 북한의 대외 관계 변화와 특징, 북한의 체제 변화 가능성과 우리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먼저 북한의 대외 관계에 대해 김일성 시대에는 ‘세계 모든 나라’와의 관계 발전을 내세운 반면, 김정일 시대에는 북한에 ‘우호적인 나라’, 김정은 시대에는 ‘사회주의 나라’로 대외관계 범위가 축소되었으며, 특히 “김정은 위원장은 권위수호 및 내부 실상을 보여주지 않는 정책을 통해 북한의 대외적 고립을 심화시켰다”고 분석하였다.

 

□ 북한 주민들의 인식 변화에 따른 북한의 사회 변화에 대해서는 “엘리트층은 이미 많은 정보를 접하면서 세계 변화를 알고 있으며, 김정일 시기부터 이반이 시작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일반 주민의 경우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을 겪으면서 인식이 변화되기 시작했고, 한류문화, 해외 파견자들의 증언 등 외부 정보 유입을 통해서도 많이 변화했다”면서 “자본주의를 경험한 사람들이 절반 이상이며, 이는 김정은이 공포 정치를 시작한 이유이기도 하다”고 설명하였다.

 

□ 마지막으로 리 전 참사는 탈북민의 한 사람으로서 북한이탈주민의 날 제정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전하면서, 우리의 대응과 관련하여 △대북 외부 정보 유입, △북한 해외 파견자 등 북한 엘리트 대상 정보전달 확대,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성공적 정착, △통일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 △일관성 있는 통일·대북정책 추진 등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한편, 민주평통은 북한이탈주민과의 ‘따뜻한 동행’을 위한 활동을 지속해 나가면서, ‘8.15 통일 독트린’에서 제시된 7대 추진 방안 중 “북한이탈주민의 역할을 통일역량에 반영”시켜 나가기 위해 탈북민 전문가의 정책 참여 통로를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붙임    1. [사후]보도자료_리일규 전 쿠바 주재 북한대사관 참사 특별 강연 개최_0827

                2. [사진]리일규 전 참사 특별강연(별첨)

첨부파일 :
  • 소속명 : 미디어소통과
  • 작성자 : 김천부
  • 연락처 : 02-2250-2371
  • 작성일 : 2024.08.27
  • 조회 : 228

열람하신 정보와 메뉴 분류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