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주요활동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언론에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 결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2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결과 

- 응답자의 34.8%가 대북·통일정책 분야의 우선 추진 과제로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 및 평화분위기 조성’ 선택

- 국민들은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조’(38.9%)와 ‘국민의 지지 및 공감대 확산’(35.9%)을 대북정책 추진에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꼽아

- 지속 가능한 대북·통일정책을 위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에 국민의 과반 이상 (53.3%)이 공감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수석부의장 김관용)는 2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 결과 분석 및 학계·언론계·해외 통일논의 등을 정리한 2025년 2분기 「통일 여론· 동향」을 발간했다. 


 □ 책자에 수록된 2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는 민주평통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알앤씨(주)에 의뢰해 6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p)으로 진행되었으며, 주민등록인구통계를 반영한 성·연령·지역별 인구 비례할당 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유무선 병행 전화면접조사(CATI)로 실시했다. 


 □ 이번 조사는 통일 필요성, 대북인식 등 추이분석 5개 문항과 △대북·통일 정책 분야 우선 추진과제, △대북정책 추진에 가장 필요한 사항, △남북 교류협력 모색 시 우선 추진분야, △사회적 대화 활성화 공감도, △사회적 대화 활성화를 위한 민주평통의 역할 등 현안 관련 5개 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o (대북·통일정책 우선 추진과제) 응답자의 34.8%가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북·통일정책 분야의 과제로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 및 평화분위기 조성’을 선택했으며, 이어 ‘포괄적·단계적 비핵화로 평화 체제를 향한 실질적 진전’(23.4%), ‘대북정책 및 통일정책에 대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17.7%), ‘남북 인도주의 협력 및 교류협력 모색’(13.0%) 순으로 응답했다. 


   o (대북정책 추진에 가장 필요한 사항) 국민들은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조’ (38.9%)와 ‘국민의 지지 및 공감대 확산’(35.9%)을 대북정책 추진에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꼽았고, 다음으로 ‘국회차원의 초당적 협력’(10.6%), ‘지자체 및 시민사회와의 협력체계 구축’(5.6%)을 선택했다.  


   o (남북 교류협력 우선 추진분야) 향후 남북교류 협력을 모색할 경우 가장 우선해야 할 분야를 묻는 질문에는 ‘인도적 지원 분야’(33.5%)가 우세한 가운데 ‘보건의료 분야’(25.1%), ‘사회·문화·체육 분야’(22.4%), ‘기후위기 관련 분야’(9.0%) 순으로 응답했다. 


  o (사회적 대화 활성화 공감도) 국민의 과반 이상(53.3%)이 지속 가능한 대북·통일정책을 위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에 대해 공감을 나타냈다. 


  o (사회적 대화 활성화를 위한 민주평통의 역할) 대북·통일정책에 대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를 위해 민주평통이 강화해야 할 역할로 응답자의 50.7%가 ‘정부·국회와 국민사이의 소통창구 역할 강화’를 꼽았고, 이어 ‘청년·여성 등 다양한 사회계층의 참여유도’(17.3%), ‘재외동포 및 국제 사회 대상 공론의 장 마련’(12.5%), ‘지역기반 공론장 확대 및 운영’(8.4%) 순으로 응답했다. 


  o (통일 필요성/통일 이유)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68.9%로 직전 분기 보다 1.0%p 소폭 상승했으며, 통일을 해야 한다면 가장 큰 이유로 ‘전쟁 위협 해소’(31.4%)와 ‘경제 발전’(27.3%)을 선택한 비율이 여전히 우세했다. 


 □ 한편, 「통일 여론·동향」은 매 분기별로 발간되어 민주평통 지역회의·협의회 및 국회, 관련 정부부처, 통일연구기관 등 유관기관에 배포되며, 전문(全文)은 민주평통 홈페이지(www.puac.go.kr)에 게시되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붙임 ①2분기 국민통일여론조사 결과 1부

          ②2분기 「통일 여론·동향」 pdf 파일 1부

첨부파일 :
  • 소속명 : 미디어소통과
  • 작성자 : 이연우
  • 연락처 : 02-2250-2265
  • 작성일 : 2025.07.25
  • 조회 : 463

※ 사용편의성조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