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통일분야 전문가 토론회 개최(2.26.)

※ 본 글은 ChatGPT AI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AI와 통일,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수석부의장 김관용, 사무처장 태영호, 이하 '민주평통')는 오늘 2월 26일(수) 16시, 민주평통 사무처 2층 대회의실에서 AI·통일분야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전영선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김성우 한림대 미래융합스쿨 부교수, 김송죽 이화여대 이화사회과학원 연구교수, 두일철 한국외대 AI 교육원 센터장, 정대진 한라대 교수가 참석해 AI에 기반한 통일활동사업 활용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었다. 



AI와 통일,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

토론회에서는 AI가 통일 교육 및 홍보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김송죽 교수는 "AI 기반의 콘텐츠 제작 기술을 활용하면 누구나 쉽게 통일 관련 음악, 그림, 시를 창작할 수 있다"며, "특히 챗봇이나 AI 어시스턴트를 활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대진 교수는 “통일 교육에서도 AI를 활용한 시각적 콘텐츠 제작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품질 개선이 필요한 수준”이라며 “프롬프트 설계를 통한 효과적인 교육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성우 교수는 AI 기술을 활용한 통일 콘텐츠 제작과 AI 교육을 통해 젊은 세대의 통일 인식을 자연스럽게 높이는 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SLM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트윈' 개념을 적용해 학생들이 자신의 통일관을 반영한 AI 모델을 육성하도록 하는 실험적 접근을 소개했다. 


데이터 학습이 관건… AI에 통일 관련 정보 공급 필요

두일철 센터장은 “AI 학습 데이터 구축이 AI 활용의 핵심”이라며 “현재 정부에서는 AI 학습 데이터를 광범위하게 구축하고 있으나, 통일 및 북한 관련 데이터는 극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민주평통과 같은 기관이 주도적으로 통일과 관련된 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활용의 부작용과 해결책

AI가 통일 교육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과 함께, 그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정대진 교수는 “AI가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올바른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이 과정에서 전문가들이 필터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AI와 통일, 미래를 위한 준비가 필요

이번 토론회는 AI 기술이 통일 교육과 홍보, 연구에 새로운 도구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보여줬다. 

전영선 교수는 “AI는 도구이자 플랫폼이며, 그 활용 방식에 따라 통일 교육을 혁신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민주평통을 비롯한 관계 기관이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통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토론회는 AI 시대의 통일 문제 접근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기대되는 자리였다. 

  • 소속명 : 사업총괄과
  • 작성자 : 권현진
  • 연락처 : 02-2250-2256
  • 작성일 : 2025.02.26
  • 조회 : 366

열람하신 정보와 메뉴 분류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