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 개최(6.23.)

2025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 개최(6.23.)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 준비위원회가 주최하고, 민주평통 강릉시협의회(회장 김준래)가 주관한 「2025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가 6월 23일(월) 오후 1시30분 강릉 세인트컨벤션웨딩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는 강릉시의 평화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한 실천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강릉시민, 시민사회단체 회원, 청년 및 학생, 민주평통 자문위원 등 130여 명이 참석해 공론의 장을 펼쳤다.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 전경>


김준래 민주평통 강릉시협의회장개회사에서 “강릉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남북이 함께 손을 잡고 입장을 했던 세계적 평화의 무대였다”며, “오늘 이 행사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해 논의하고 그 길을 함께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로, “단순한 토론이 아니라 시민들의 지혜와 생생한 목소리가 어우러져 실질적인 추진 과제를 발굴하고, 실천하는 소중한 과정을 이루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개회사: 김준래 강릉시협의회장>


김용승 가톨릭관동대 총장축사를 통해 “오늘 시민대화처럼 지역 고유의 평화통일 과제를 발굴하고 함께 실천해 나가려는 시민들의 노력이야 말로 진정한 통일의 밑거름”이라고 말하며, “평화와 통일은 결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 속에서, 지역사회 속에서 실천하고 만들어 갈 때 비로소 현실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축사: 김용승 가톨릭관동대 총장>


이번 강릉 시민대화는 특별히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 80주년, 강릉에서 통일의 꿈을 잇다」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 

강연을 맡은 김에스라 민주평통사무처 정책연구위원은 “광복을 위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고, 서로 힘을 합쳐 연대한 강릉3.1독립만세운동”처럼 “평화통일을 위해서도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평화통일 시민대화를 통해 강릉형 평화통일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여러분이 갖고 계시는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마음껏 논의하시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특별강연: 김에스라 민주평통사무처 정책연구위원>


다음 순서로 이만규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 준비위원장이 시민대화 추진경과를 보고하고, 김미심 준비위원(민주평통 강릉시협의회 기획홍보분과위원장)이 ‘강릉바다 평화의 길 플로깅’ 등 13개의 강릉 평화통일 추진과제를 제안했다.

     

<시민대화 추진경과 보고: 이만규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 준비위원장>

      

<강릉 평화통일 공감대 추진과제 제안: 김미심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 준비위원>


이어서 김희영 더좋은공감스피치 대표(민주평통 상임위원)의 진행으로 본격적인 시민대화가 시작됐다. 조별 참가자들은 강릉 시민들이 함께 실천한 평화통일 공감대 추진과제와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계획안을 만들었다. 


  


<조별 토론 및 실천과제 작성 모습>


다음으로 조별 발표를 통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수제안 투표에서 가장 많은 공감을 얻은 13조의 “강릉 바다와 함께하는 비둘기 봉사단”이 최우수 과제로, 10조의 “ 캠프 이어Dream”이 우수 과제로 선정됐다. 



 

<조별 발표 및 우수제안 투표 결과 1(13조), 2위(10조)>


끝으로 ‘약속의 시간’에는 김준래 민주평통 강릉시협의회장, 조창진 민주평통 강원지역회의 부의장, 김홍규 강릉시장, 최익순 강릉시의회 의장, 최진영 광복회 강원특별자치도지부 강릉시지회 회장, 한율 가톨릭관동대학교 홍보단, 김희성 강릉 명륜고등학교 학생회장, 이만규 강릉 평화통일 시민대화 준비위원장, 박학민 민주평통사무처 자문건의국장이 단상에 올라 참가자들이 직접 계획안 평화통일 실천과제가 잘 실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또 실천해 나갈 것을 다짐하는 시간을 가졌다.




<약속의 시간 및 단체 퍼포먼스 사진>


민주평통은 목포(6.13)와 강릉(6.23)에 이어 하반기 수도권에서 「우리고장 평화통일 시민대화」를 개최해 지역사회 평화통일 대화의 장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예정이다.

  • 소속명 : 참여협력과
  • 작성자 : 김지현
  • 연락처 : 02-2250-2340
  • 작성일 : 2025.06.25
  • 조회 : 407

※ 사용편의성조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