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강원평화통일포럼 개최(8.21.)

2025 강원평화통일포럼 개최(8.21.)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상황에서의 남북협력 방안과 가능성 검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강원지역회의(부의장 조창진)는 8월 21일(목), 강원특별자치도 여성가족연구원 강당에서 2025 강원평화통일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상황에서의 남북협력 방안과 가능성 검토>라는 주제를 다뤘다.


유진아 화천군 포럼연구위원이 사회를 맡아 △개회사, △주제발표, △지정토론, △조별토론 및 발표 등 순으로 포럼을 진행했다.


개회사(원종화 강원지역회의 간사)


개회사에서 원종화 강원지역회의 간사는 “오늘 이 자리는 다양한 의견과 지혜를 모아 평화의 길을 함께 모색하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이며, 함께 나누는 생각이 변화와 씨앗이 되어 통일이라는 결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는 조창진 강원부의장의 개회사를 대독했다.


인사말(한효관 강원평화통일포럼 연구위원장)


한효관 강원평화통일포럼 연구위원장은 “오늘 포럼은 기존과 달리 여러분 모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포럼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평화통일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축사(최종호 춘천시협의회장)


최종호 춘천시협의회장은 “경색된 대북 관계를 풀어내기 위해 이번 포럼에서 여러분들의 의견이 잘 모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축사를 마쳤다.


환영사(김숙영 여성가족연구원장)


김숙영 여성가족연구원장은 “강원특별자치도 여성들이 남북교류와 협력을 이어갈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평화통일의 그날이 하루 빨리 오기를 염원한다”이라며 환영사를 전했다.


  

(왼쪽부터) 한효관 강원평화통일포럼 연구위원장, 윤여상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소장(상임위원), 신승렬 상임위원, 오주희 강원평화통일포럼 연구위원


이어 한효관 강원평화통일포럼 연구위원장의 주재로 본격적인 포럼이 시작됐다.


발제를 맡은 윤여상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소장은 △남북관계와 국제사회의 대응, △유엔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내용과 수준, △대북제재가 북한체제에 미친 영향과 과제, △남북협력 방안과 가능성 검토 등을 발표했다.


윤 소장은 “남북협력이 실현되기 어려운 이유는 단순한 정치적 갈등 때문만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체제의 구조적 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후 인도적 협력, 민간중심의 비정치적 교류, 외교전략을 통한 제재 완화 시도 등의 협력방안을 제시하며, “당장은 큰 틀의 협력은 어려울 수 있지만 제재의 틈새를 찾고 그 안에서 실현가능한 협력을 하나씩 만들어 간다면 언젠가 큰 변화의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발표를 마쳤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 신승렬 상임위원은 “과거 남북관계가 성공적으로 개선됐던 사례들을 되짚어보는 게 지금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하며, “작은 접점을 통해 신뢰를 쌓아가는 게 지금 우리가 해야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오주희 강원평화통일포럼 연구위원은 “우리 정부가 직접 북한과 대규모 협력을 추진하는 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고 얘기하며, “그렇기에 비정치적이고 인도적인 분야부터 국제사회와 함께 협력하는 전략이 필요하고 작지만 검증 가능한 성공을 반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조별토론 및 발표


지정토론에 이어 포럼 참석자들 모두가 직접 참여하는 조별 토론과 발표를 진행하여 발제 및 토론내용에 대해 더 깊고 폭넓은 의견을 공유했다.


단체사진


이번 강원평화통일포럼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제 상황에서의 남북협력 방안과 가능성에 대해 활발히 토의하며 생각을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민주평통은 지역 평화통일담론 확산과 의견수렴을 위해 17개 시·도별 국내 평화통일포럼을 지속 개최할 예정이다. 

  • 소속명 : 참여협력과
  • 작성자 : 이상민
  • 연락처 : 02-2250-2339
  • 작성일 : 2025.08.22
  • 조회 : 180

※ 사용편의성조사에 참여하시겠습니까?